728x90
나만무
멀티접속 구현, 동기화 x
멀티 접속까지는 구현에 성공했다.
같은 씬 안에 들어온 다른 캐릭터가 구현이 됐지만, 현재 같은 플레이어 이동 스크립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내 캐릭터를 움직이면 이 멀티 캐릭터도 움직이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 부분은 프리팹에서 스크립트를 제거해주고, 움직임을 동기화하는 방법으로 해결하면 될 것같다.
Node.js
class
- 함수는 기능을 포장하는 기술이라면 클래스는 그렇게 만들어진 변수와 함수 중 연관있는 변수와 함수를 선별해 포장하는 기술이다. 포장하는 이유는 객체 단위로 코드를 그룹화하고 재사용하기 위함이다.
- 기능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특정한 개체를 만드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이 클래스를 이용해서 객체를 실체화하는 것을 인스턴스화라고 한다.
costructor
-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초기화하는 메서드이다. 클래스의 새 인스턴스가 생성될 때마다 constructor 메서드가 자동으로 호출된다.
백준
4375 1
#include <bits/stdc++.h>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ios::sync_with_stdio(NULL);
cin.tie(NULL);
cout.tie(NULL);
unsigned int num;
int i = 0;
while (cin >> num)
{
int check = 1;
i = 1;
while (1)
{
if (0 == check % num)
break;
else
{
++i;
check = check * 10 + 1;
check %= num;
}
}
cout << i << endl;
}
return 0;
}
- 1,11,111,1111,1111 … 로 커져나가면서 num으로 나누어떨어지는지 확인하는 문제
- 계속 숫자를 키워나갔더니 idx초과 문제가 떴다.
- 그래서 modular연산을 통해서 값을 넘겨주는 방식을 사용했다.
728x90
'Study > TIL(Today I Learn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04.29 나만무 (0) | 2024.04.30 |
---|---|
24.04.28 나만무 (0) | 2024.04.30 |
24.04.26 나만무, Node.js (3) | 2024.04.26 |
24.04.25 최종 기획 (0) | 2024.04.25 |
24.04.24 알고리즘, 기획 (0) | 2024.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