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KRAFTON 38

24.03.12 운영체제, CS, PintOS

운영체제 15. 페이징 : 더 빠른 변환(TLB) 변환 - 색인 버퍼(TLB : translation - lookaside buffer) MMU의 일부다. 자주 참조되는 가상 주소 - 실 주소 변환 정보를 저장하는 하드웨어 캐시다. 주소 - 변환 캐시(address translation cache)가 조금 더 적합한 명칭이다. 가상 메모리 참조 시, 하드웨어는 먼저 TLB에 원하는 변환 정보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만약 있다면 페이지 테이블(모든 변환 정보를 가지고 있다.) 를 통하지 않고 변환을 수행한다. 실질적으로 TLB는 페이징 성능을 엄청나게 향상시킨다. 15.1 TLB의 기본 알고리즘 하드웨어 부분의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가상 주소에서 가상 페이지 번호(VPN : Virtual..

Project1. Threads

Project1. Thread https://github.com/jaenam615/pintos-kaist GitHub - jaenam615/pintos-kaist: 크래프톤 정글 4기 pintOS과제 Project 1 & 2 크래프톤 정글 4기 pintOS과제 Project 1 & 2. Contribute to jaenam615/pintos-kaist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Krafton Jungle Week 7 Team 6 WIL Project 1 Thread : Alarm Clock ~ Priority Scheduling(WIP) 느낀점 일단 너무 어려웠던 프로젝트1이 끝이났다. 사실 코치님은 1,2 는 할만하고 3이 진짜..

Study/PintOS 2024.03.12

24.03.11 운영체제, KEYWORD

운영체제 14. 페이징 개요 공간을 동일 크기의 조각으로 분할하는 것을 페이징(Paging)이라 부른다. 프로세스의 주소 공간을 몇 개의 가변 크기의 논리 세그멘트로 나누는 것이 아니라 고정 크기의 단위로 나눈다. 이 각각의 고정 크기 단위를 페이지(Page)라고 부른다. 상응하여 물리 메모리도 페이지 프레임(Page Frame) 이라고 불리는 고정 크기의 슬롯의 배열이라고 생각한다. 이 프레임 각각은 하나의 가상 메모리 페이지를 저장할 수 있다. 14.1 간단한 예제 및 개요 물리 메모리는 고정 크기의 슬롯들로 구성된다. 가상 주소 공간의 페이지들은 물리 메모리 전체에 분산 배치되어 있다. 페이징의 장점은 유연성이다. 페이징을 사용하면 프로세스의 주소공간 사용 방식과는 상관없이 효율적으로 주소공간 개념..

24.03.10 운영체제, PintOS 정리

운영체제 13. 빈공간 관리 빈공간 관리는 관리하고 있는 공간이 고정 크기의 단위로 나누어져 있는 경우 쉽다. 그런 경우 고정 크기 단위의 리스트를 유지하면 된다. 클라이언트가 그 중 하나를 요청하면 첫 번째 항목을 반환하면 된다. 빈공간 관리가 더 어렵고 흥미로운 경우는 관리하는 공간이 가변 크기 빈 공간들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다. 이 경우 malloc()과 free()에서 처럼 사용자 수준 메모리 할당 라이브러리에서 그리고 세그멘테이션으로 물리 메모리를 관리하는 운영체제에서 발생한다. 어느 경우에도 외부 단편화가 존재한다. 13.1 가정 malloc()과 free()에서 제공하는 것과 같은 기본 인터페이스를 가정한다. 이 라이브러리가 관리하는 공간은 역사적으로 힙으로 불리며, 힙의 빈공간을 ..

24.03.09 운영체제, PintOS

운영체제 12. 세그멘테이션 스택과 힙 사이의 공간은 사용되지 않더라도 주소 공간을 물리메모리에 재배치 할 때 물리 메모리를 차지한다. 베이스 바운드 레지스터 방식은 메모리 낭비가 심하다. 또한, 주소 공간이 물리 메모리보다 큰 경우 실행이 매우 어렵다. 이런 측면에서 베이스와 바운드 방식은 유연성이 없다. 12.1 세그멘테이션 : 베이스/바운드의 일반화 세그멘테이션 아이디어는 MMU에 하나의 베이스와 바운드 값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세그멘트마다 베이스와 바운드 값이 존재한다. 세그멘트는 특정 길이를 가지는 연속적인 주소 공간이다. 우리가 기준으로 삼은 주소 공간에는 코드, 스택, 힙의 세 종류의 세그멘트가 있다. 세그멘테이션을 사용하면 운영체제는 각 세그멘트를 물리 메모리의 각기 다른 위치에 배치할 ..

7Week 24.02.29 - 24.03.06 부제 : 극뽁!

회고 PintOS의 1주차가 끝났다. PintOS는 Project 1,2,3로 나누어져 있다. 1,2 Project는 3주로 구성되어 10일정도로 나누어진다. 그중 7일이 끝났다. 악명이 되게 높았던 PintOS 얼마나 심할까 심할까 생각했지만 정말 많이 어려웠다. 느낀점은 뒤에 더 이어서 쓰도록 하겠다. KPT 회고 Keep, Problem, Try의 약자로 Keep은 잘 한 것, Problem은 아쉬운 것, Try는 K와 P기반으로 무엇을 할지에 대해 작성하는 방법이다. K : 잘 해와서 유지하고 싶은 것 P : 어려움을 느껴서 개선하고 싶은 것 T : 구체적인 시도할 내용 프로젝트 설명 PintOS의 Project1 thread 10일중 1주 정도이다. thread와 스케줄링에 관한 많은 부분을 구..

24.03.08 운영체제, PintOS 진행정도

운영체제 11. 주소변환의 원리 메모리 가상화는 가상화를 제공하는 동시에 효율성과 제어 모두를 추구한다. 효율성을 높이려면 하드웨어 지원을 활용할 수 밖에 없다. 제어는 응용 프로그램이 자기 자신의 메모리 이외에는 다른 메모리에 접근하지 못한다는 것을 운영체제가 보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유연성 측면에서 프로그래머가 원하는대로 주소공간을 사용하고 프로그래밍 하기 쉬운 시스템을 만들기를 원한다. 주소변환(Address translation)을 통해 하드웨어는 명령어 반입, 탑재, 저장 등의 가상주소를 정보가 실제 존재하는 물리주소로 변환한다. 프로그램의 모든 메모리 참조를 실제 메모리 위치로 재지정하기 위하여 하드웨어가 주소를 변환한다. 운영체제는 메모리의 빈 공간과 사용중인 공간을 항상 알고 있어야 하고,..

8Weeks_CoffeeChat

CoffeeChat 카이스트 핀토스 영상이 있던데, 어떻게 구현하는지 이정표 정도만 나온다고 한다. 이런것을 보고 좀 참고해도 될까요? 된다면 어느정도 봐야할까요? 이정표가 없어서 내 아키텍처가 맞는지 검증이 안되는게 큽니다. 베스트는 안보는게 맞다. 하지만 너무 어렵고, 길이 안보인다면 개인이 잘 잘라내어서 보는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이론적인 부분과 핵심적인 부분을 잘 캐치해라. Project1 에서 중요한 것은 thread이다. thread와 스케줄링을 잘파악하고 알아봐라. 아키텍쳐의 경우 설계철학이 중요하다. 큰 틀에서 맥락을 이해라고 작게 나눠가며 짜면 좋다. 이론적인 부분이 어렵다면 개념적인 부분과 구현으로 교차비교하면 좋다. 키워드 정리가 이해는되지만 안외워질때가 많은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