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주소공간 2

운영체제 12. 세그멘테이션

운영체제 12. 세그멘테이션 스택과 힙 사이의 공간은 사용되지 않더라도 주소 공간을 물리메모리에 재배치 할 때 물리 메모리를 차지한다. 베이스 바운드 레지스터 방식은 메모리 낭비가 심하다. 또한, 주소 공간이 물리 메모리보다 큰 경우 실행이 매우 어렵다. 이런 측면에서 베이스와 바운드 방식은 유연성이 없다. 12.1 세그멘테이션 : 베이스/바운드의 일반화 세그멘테이션 아이디어는 MMU에 하나의 베이스와 바운드 값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세그멘트마다 베이스와 바운드 값이 존재한다. 세그멘트는 특정 길이를 가지는 연속적인 주소 공간이다. 우리가 기준으로 삼은 주소 공간에는 코드, 스택, 힙의 세 종류의 세그멘트가 있다. 세그멘테이션을 사용하면 운영체제는 각 세그멘트를 물리 메모리의 각기 다른 위치에 배치할 ..

책/운영체제 2024.03.09

운영체제 9. 주소공간의 개념

9. 주소공간의 개념 9.1 초기 시스템 운영체제는 메모리에 상주하는 루틴의 집합이었다. 물리메모리에 하나의 실행중인 프로그램(프로세스)이 존재하였고 나머지 메모리를 사용하였다. 9.2 멀티프로그래밍과 시분할 여러 프로세스가 실행준비 상태에 있고 운영체제는 그들을 전환하면서 실행하였다. 이런 전환은 CPU 이용률을 증가시켰다. 당시에는 이런 효율성의 개선이 중요했다. 많은 사람들이 일괄처리 방식 컴퓨팅의 한계를 인식하였다. 많은 사용자가 동시에 컴퓨터를 사용하고 현재 실행 중인 작업으로부터 즉시 응답을 원하기 때문에 대화식 이용(interactivity)의 개념이 중요하게 되었다. 시분할을 구현하는 한 가지 방법은 하나의 프로세스를 짧은 시간동안 실행시키는 것이다. 해당 기간 동안 프로세스에게 모든 메모..

책/운영체제 2024.03.0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