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2

운영체제 22. 락 기반의 병행 자료 구조

22. 락 기반의 병행 자료 구조 자료구조에 락을 추가하면 해당 자료구조를 경쟁 조건으로부터 안전한 쓰레드 사용(thread safe) 자료 구조로 만들 수 있다. 락이 어떤 방식으로 추가되었느냐에 따라 그 자료구조의 정확성과 성능이 좌우된다. 22.1 병행 카운터 카운터는 가장 간단한 자료구조 중 하나이다.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구조이면서 인터페이스가 간단하다. 간단하지만 확장성이 없다. 이 병행이 가능한 카운터는 간단하지만 정확하게 동작한다. 사실 이 카운터는 가장 간단하고 가장 기본적인 병행 자료 구조의 보편적인 디자인 패턴을 따른다. 자료구조를 조작하는 루틴을 호출할 때 락을 추가했고, 그 호출문이 리턴될 때 락이 해제되도록 하였다. 이 방식은 모니터(monitor)를 사용하여 만든 자료구조와 유사..

책/운영체제 2024.03.19

운영체제 21. 락

21. 락 프로그래머들은 소스코드의 임계영역을 락으로 둘러서 그 임계영역이 마치 하나의 원자단위 명령어인것 처럼 실행되도록 한다. 21.1 락 : 기본개념 락은 둘 중 하나의 상태를 갖는다. 첫 번째는 사용가능(available) 상태 (unblocked 또는 free) 이다. 즉, 어떤 쓰레드도 락을 소유하고 있지 않다. 두 번째는 사용 중(acquired) 상태이다. 즉, 임계영역에서 정확히 하나의 쓰레드가 락을 획득한 상태이다. lock과 unlock 루틴의 의미는 간단하다. lock() 루틴 호출을 통해 락 획득을 시도한다. 만약 어떤 쓰레드도 락을 갖고 있지 않으면 그 쓰레드는 락을 획득하여 임계영역 내로 진입한다. 이렇게 락을 획득한 쓰레드를 락 소유자(owner)라고 부른다. 만약 다른 쓰레..

책/운영체제 2024.03.18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