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TIL(Today I Learned)

24.05.02 나만무

에린_1 2024. 5. 3. 00:46
728x90

나만무

중간발표

클라이언트 - 서버 host 방식으로 시연을 하고 코치님에게 피드백을 받았다.

  1. 호스트 방식은 반응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레이싱에는 적합하지 않다.
  2. 기존처럼 하나의 서버를 두고, 키 입력(위치, 속도, 가속도(방향))을 동기화 해라

때문에 클라이언트 - 서버 host 방식에서 기존의 클라이언트 - 서버 방식으로 재 변경하였다. 서버 쪽도 SendToHost() 등 호스트 방식을 위해서 추가했던 코드를 전부 삭제했다.

클라이언트 측과 프로토콜 재정의 후, 형식에 맞게 함수와 패킷 구조등을 수정했다.

  1. Packet의 멤버 변수 id → from으로 변경했다.
  2. KeyPacket에서 key → position, velocity, acceleration, time을 전달하게 변경했다.
  3. 서버 쪽에서 클라이언트의 보간&보외 작업을 맡기로 했다.
    1. 보간의 경우 Slert를 사용하기로 했다.
      1. target위치에 가까워질수록 속도가 느려지는 문제가 있다.
    2. 클라이언트 - 서버의 레이턴시가 너무 크다.
      1. 로컬의 경우 15ms-30ms 정도가 나오는데, AWS의 경우 600ms정도의 속도가 나온다.
      2. 멘토님에게 질문을 드렸다.
728x90

'Study > TIL(Today I Learn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05.04 나만무  (0) 2024.05.04
24.05.03 나만무  (0) 2024.05.04
24.05.01 나만무  (0) 2024.05.03
24.04.30 나만무, 멘토 면담  (0) 2024.05.01
24.04.29 나만무  (0) 2024.04.30